ch 5. Inferring a Binomial Proportion via Exact Mathmatical Analysis
30 Oct 2017 | ml bayesian inference conjugate prior서론
계속 다루고 있는 확률 분포는 다음과 같은 성질을 가지고 있었다.
- 상호 배타적인 two outcome.
- stationary probability (어떤 outcome의 확률이 달라지지 않음)
- data independent (순서에 따라 달라지지 않음)
Binomial에 대해서 어떤 prior belief들을 보기 시작할껀데… 먼저 likelihood function부터 정의해보도록하자
5.1 The likelihood function: Bernoulli distribution
- $p(y\vert \theta) = \theta^y(1-\theta)^{(1-y)}$
- 위를 bernoulli distribution이라 한다.
- y로 marginalize하면 1이 되지!
- 근데 y가 고정된 data고 $\theta$를 variable로 생각해볼 수 있다.
- 이 경우 $\theta$의 likelihood function이라고 말할 수 있다.
- 물론 이 경우 $\theta$의 확률과 연관은 되어있지만, pdf는 아니다.
- $\int_0^1 \theta^y(1-\theta)^{(1-y)} d\theta = \frac{1}{2} \neq 1$
- 이를 Bernoulli likelihood function이라 부른다.
5.2 A description of beliefs: The beta distribution
위에서 likelihood를 정의했는데, 당연히 $\theta$는 $[0, 1]$사이의 value이다. 우리가 prior를 정할 때 $p(\theta)$도 이 사이에서만 정의하면 된다. 이외에도 있으면 편리한 성질이 있는데
- $p(y\vert \theta)p(\theta)$ 가 $p(\theta)$꼴로 나오면 좋겠다.
- 그러면 prior랑 posterior가 같은 함수 형태를 이룬다.
- 데이터가 연속적으로 나와도 계속 같은 형태를 유지..
- $\int p(y\vert \theta)p(\theta)d\theta$가 analytically 풀리기를 기대함
- $p(\theta)$가 $p(y\vert \theta)$의 conjugate prior !!!!
- $p(y\vert \theta)$가 주어질 때, $p(\theta)$로 posterior를 만들 수 있고
- 이 posterior가 prior와 같은 꼴일 때
- $p(\theta)$가 $p(y\vert \theta)$의 conjugate prior !!!!
이제 Bernoulli likelihood의 conjugate prior를 찾아보자! 꼴 일테지..
그래서 Beta distribution이 conjugate prior인데…
- $B(a,b)$: Beta function (normalizing term)
- $\int_0^1 \theta^{(a-1)}(1-\theta)^{(b-1)} d\theta$
TODO
: Gamma function 찾아보기( $B(a, b) = \Gamma(a)\Gamma(b)/\Gamma(a+b)$라고 한다. )
- a, b가 positive
- a가 커지면 오른쪽으로 이동, b가 커지면 왼쪽
- mean: $\mu = \frac{a}{a+b}$
- a » b 면 mean 커짐
- std: $\sqrt{\mu(1-\mu)/(a+b+1)}$
- a+b가 커지면 std 작아짐
- 그림의 대각선은 fair한 동전이다. a=b=1은 uniform dist, 4면 gaussian과 비슷하넹..
- 이는 1번만 보면 fair할 것 같으나 확신이 부족한 것, 4번씩 번갈아 observe하면 확신이 생겼다고 볼 수 있지…
prior 설정 시에, a, b >= 1을 많이 쓴다. 그림의 대각선을 보면 fairness에 관한 믿음으로 쓸 수 있겠지….
- 이는 1번만 보면 fair할 것 같으나 확신이 부족한 것, 4번씩 번갈아 observe하면 확신이 생겼다고 볼 수 있지…
5.2.2 The Posterior beta
이제 beta distribution을 사용하여 posterior를 구해보면
- (1)에서 (2)가 되는 것은 beta dist의 정의에 따라 Normlize하면 당연히 그리 된다.
- 결론: $beta(\theta; a,b)$를 prior로 하여 data가 N개중 z개 head 나온 seq라면 posterior는 $beta(\theta; a+z, b + N - z)$이다.
- 다른 해석
- mean을 구해보자
- prior:
- posterior:
- 여기서 $z/N$은 data의 mean, $a/(a+b)$는 prior의 mean이며 이들의 weighted sum으로 볼 수 있다.
- prior:
- mean을 구해보자
N번 돌리는데 왜 likelihood는 combination안하는가…?는 하나의 sequence가 observe 되었다고 가정하고 풀고있기 때문이다.
5.3 Three inferential goals
5.3.1 Estimating the binomial proportion
- prior의 belief 정도에 따라 posterior가 어떻게 바뀌나 보자..
5.3.2 Predicting data
- $p(y) = \int p(y\vert \theta)p(\theta) d\theta$로 모든 param의 belief들의 weighted sum으로 prediction이 가능하다고 했었다.
- 요기서 $p(\theta)$가 observed data로 수정된 posterior belief…
- 뭐 수식이 필요친 않고.. Observed data로 수정된 belief를 가지고, weighted sum한 것이 prediction이다.
5.3.3 Model comparison
Evidence
어떤 모델의 evidence라는건 Data가 주어졌을 때, 모델의 가능성?을 보여주는 척도
- model과 data given -> 가능한 param에 대한 weighted sum
- $p(D\vert M) = \int p(D\vert \theta, M)p(\theta\vert M)d\theta$
여기서 $p(D\vert M)$은 prior를 beta, likelihood를 bernoulli로 하면 $p(z,N)$과 같다.
증명>
엄청 헷갈리네… ㅠㅠ
어쨌든 여기서 $p(z,N)$이 evidence임을 증명했고…
이를 구해보면 (1),(2)에서 $B(a, b)p(z,N) = B(z+a, N-z+b)$
Beta function으로 data의 prior를 표현가능하다??
hyperparameter (a, b)는 사실 필요하지! $p(z,N\vert a,b)$
그림 재탕 위의 그림에서 P(D)는 사실 P(D\vert M)인데 Data에 따른 evidence가 왼쪽이 훨씬 큰 것을 알 수 있다.